반응형

트리메타지딘(Trimetazidine) – 작용기전, 적응증, 부작용 등 전문적 해설
트리메타지딘(Trimetazidine)의 서방형 제제로, 심혈관 질환에 사용되는 대사 조절제입니다.
🧬 1. 성분 및 제형
항목내용
제품명 | 바스티난엠알서방정 35mg (Vastinan MR Tab. 35mg) |
성분명 | 트리메타지딘 디히드로클로라이드 (Trimetazidine Dihydrochloride) |
제형 | 서방정(MR, Modified Release tablet) |
1정 함량 | Trimetazidine dihydrochloride 35 mg |
⚙️ 2. 약리기전(Mechanism of Action)
트리메타지딘은 세포 수준의 대사 조절제(metabolic agent)로, 심근세포가 에너지 생산을 더 효율적으로 하도록 유도하는 약물입니다. 그 작용은 다음과 같이 설명됩니다
🔬 세포 내 에너지 대사 조절
- 미토콘드리아의 지방산 산화를 억제하고, 대신 글루코스 산화(glucose oxidation)를 촉진하여 ATP 생산 효율을 높임.
- 이는 허혈 상태에서 산소 소비량 대비 에너지 산출(oxygen efficiency)을 향상시켜 심근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냄.
🧪 세포막 안정화
- 허혈성 환경에서 세포막의 이온 펌프 (Na⁺/K⁺ ATPase, Ca²⁺ 펌프 등)를 안정화하여 세포 내 칼슘 과부하 방지.
- 락트산 생성 감소, 세포 내 산성화 방지, 자유라디칼 생성 억제 등의 효과로 세포 손상을 줄임.
💉 3. 적응증(Indications)
✅ 허혈성 심질환(Ischemic heart disease)
- 협심증의 보조요법 (단독 요법 아님)
- 혈역학적 영향 없이 심근 허혈 완화
- 운동 시 흉통 빈도 감소 및 질병의 진행 지연 효과
⚠️ 비심혈관계 적응증(Off-label 또는 지역별 승인 사항)
- 이명, 현훈, 망막병증, 이소성 중이 질환 등: 일부 국가에서는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제한적
- 파킨슨병에서의 금기사항과 관련해 비심혈관계 사용은 감소 추세
🧾 4. 용법 및 용량(Dosage)
제형용량투여 빈도
Trimetazidine 20 mg | 1정 | 하루 2~3회 |
Trimetazidine 35 mg MR (서방형) | 1정 | 하루 2회 (아침/저녁) |
※ 식사와 관계없이 복용 가능
🚨 5. 부작용(Adverse Effects)
🌐 흔한 부작용 (≥1%)
- 위장관계: 오심, 구토, 복통, 설사
- 신경계: 두통, 어지러움, 무기력
⚠️ 심각한 부작용 (희귀하지만 중요)
- 파킨슨 유사 증상 (Parkinsonian symptoms)
- 떨림, 강직, 운동 느려짐 (bradykinesia) 등
- 기전: 도파민성 경로 간섭 가능성
- 보행 장애, 불안정한 자세
- 드물지만 불면, 우울, 환각 보고 사례 존재
📌 EMA(유럽의약품청) 권고:
- 파킨슨병 환자, 파킨슨 유사 증상 병력자, 보행 장애 환자에게는 금기
- 고령자는 신경학적 부작용 감시 필요
🔄 6. 약물상호작용(Drug Interactions)
트리메타지딘은 대사효소(CYP450 계열)를 크게 억제하거나 유도하지 않아 약물상호작용은 적은 편입니다. 하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 주의:
- 파킨슨병 약물과 병용 시: 도파민 작용 길항 가능성 → 증상 악화 우려
- 항정신병약, 항우울제 등과 병용 시: 중추신경계 작용 중첩 주의
🧫 7. 약물동태학(Pharmacokinetics)
항목특성
흡수 | 경구 투여 시 빠르게 흡수됨 |
Tmax | 약 24시간 (서방정은 68시간) |
반감기 (t½) | 약 6시간 (서방정: 12시간) |
대사 | 대부분 간에서 대사되지 않음 |
배설 | 주로 **신장(urine)**으로 배설 (60% 이상) |
투석 가능성 | 혈액투석으로 일부 제거 가능성 있음 |
🚫 8. 금기사항(Contraindications)
- 파킨슨병 및 파킨슨 유사 증상 환자
- 운동 이상증, 떨림, 불수의운동 등 신경계 질환 병력
- 중증 신부전 (CrCl < 30 mL/min)
- 임신 및 수유 중 여성에게는 충분한 자료 없음
🧪 9. 기타 주의사항
- 운전 및 기계조작 주의: 어지러움/운동장애 가능성
- 장기 복용 시 정기적인 신경학적 평가 필요
- 노인 환자: 감수성이 높아 용량 조절 또는 감시 필요
📚 10. 근거 및 참고 문헌
- European Medicines Agency (EMA): Trimetazidine use restriction guideline
- ESC Guidelines on the Management of Chronic Coronary Syndromes
- Martindale: The Complete Drug Reference
- Goodman & Gilman's: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
- PubMed articles on mitochondrial metabolism modulation by trimetazidine
트리메타지딘(Trimetazidine) – 도핑 관련 전문 정보
🧯 11. 도핑 관련 분류 및 금지 여부
✅ 세계반도핑기구(WADA)의 분류
- WADA 금지목록 등재:
- 2014년부터 트리메타지딘은 WADA(세계반도핑기구)의 금지약물로 등록
- 금지 범주:
- S4. 호르몬 및 대사 조절제(Metabolic Modulators)
- 예: 멜도늄, 인슐린, 트리메타지딘 등 포함
- 사용 시점과 관계없이 경기 내외 모두 금지
- 즉, 경기 시즌 중이 아니어도 검출되면 제재
📍 금지 이유
- 미토콘드리아 에너지 대사를 조절하여 지구력과 피로 회복 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음
- 운동 선수의 산소 이용 효율 개선, 근육 보호, 피로 저항성 증가 효과를 노리고 사용될 수 있음
- 운동 능력 향상 가능성이 있다는 근거에 따라 금지됨
🚨 12. 도핑 사례 및 징계 사례
🎯 주요 적발 사례
- 카밀라 발리예바 (Kamila Valieva) – 러시아 피겨 선수
-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전 도핑 테스트에서 트리메타지딘 양성
- 국제 스포츠계에서 큰 논란
- 해당 사건으로 2024년 1월, 4년 자격정지 판정
- 중국 수영선수들 집단 양성 판정 (보도)
- 2024년 관련 보도에 의하면, 다수의 중국 수영선수들이 트리메타지딘 양성 판정 후 면책 처리되어 국제적 논란 야기
- 기타 육상, 체조, 수영 등에서 비정상적 수준의 검출 빈도 보고됨
🔍 13. 검출 및 검사 정보
🧪 분석법
- GC-MS (Gas Chromatography-Mass Spectrometry)
- LC-MS/MS (Liquid Chromatography-Tandem Mass Spectrometry)
- 소변 검사로 검출 가능, 반감기 길어 비교적 오랜 시간 동안 검출 가능
⏱️ 검출 기간
- 보통 복용 후 5~7일 이내 검출 가능
- 그러나 신기능, 투여량, 서방제 사용 여부에 따라 더 길어질 수 있음
⚠️ 14. 선수 및 일반 복용자의 주의사항
🏃 운동선수 주의사항
- 치료 목적이라 하더라도 사용 금지
- Therapeutic Use Exemption (TUE, 치료목적사용면책) 없이는 복용 불가
- 건강보조식품이나 수입약 등에도 혼입될 수 있어 위험
⚠️ 오염 가능성
- 일부 영양제, 비타민제, 운동보조제에 무표기 혼입 사례 보고됨
→ 무심코 섭취해도 도핑 양성 반응 가능
📋 15. 결론 및 요약
항목설명
도핑 금지 여부 | WADA에 의해 금지됨 (S4 대사조절제) |
사용 시기 | 경기 내외 관계없이 항상 금지 |
검출 가능 기간 | 보통 5~7일, 경우에 따라 그 이상 |
주요 효과 | 세포 에너지 대사 조절 → 피로 저항성 향상 가능성 |
검출 시 제재 | 선수 자격 정지, 기록 박탈, 자격 상실 등 |
📚 16. 참고 문헌 및 출처
- WADA Prohibited List 2025 – www.wada-ama.org
- Court of Arbitration for Sport (CAS) – Kamila Valieva Case Ruling
-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– Trimetazidine's effects on cardiac metabolism
- Drug Testing and Analysis (2021) – Detection windows for metabolic modulators
- Science (2024) – "China’s swimming doping scandal and WADA oversight"
반응형
'약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프레탈정 리넥신정 실로스타졸에 대해서 알고 드세요 (0) | 2025.05.28 |
---|---|
올루미언트정(바리시티닙)효능 효과 부작용 알고드세요 (1) | 2025.05.05 |
다양한 임상에 쓰이는 글루타치온 효능 부작용 알고 드세요 (0) | 2025.04.22 |
아미트리프틸린정 에나폰정 에트라빌정 효능 부작용 알고 드세요 (과별 정리) (1) | 2025.04.20 |
유단백추출물 MBP 효능 알고 드세요 (4) | 2025.04.18 |